분류 전체보기(50)
-
러브, 데스 로봇 '독수리자리 너머'와 매트릭스 세계관
먼저 스토리 나열하려는 것도 아니고 결론을 정확하게 해석을 하려는 것도 아니다. 스토리 요약도 없다. 15분 남짓한 단편 영상을 보면서 내 머리 구석에 있던 생각들과 결합된 이야기들을 풀어보려고 한다. 결말을 기본으로 담고 있는 내용이니 아직 안 보신 분은 15분만 투자해서 미리 보고 오시길. 참고로 주인공 이름은 "톰" 그리고 넷플릭스에 대한 고마움. 넷플릭스 아니면 이런 영화(사실상 비상업적 단편영화) 제작은 어려웠을 듯. 제목 "독수리자리 너머"에 담겨있는 우주관 너머 or 넘어? 일단 "독수리자리 너머" 라는 제목을 보자 "독수리자리 넘어"와 어떻게 다를지 찾아봤다. 쉽게 말하면 '너머'는 가로막은 장애물의 반대쪽 공간을 의미하고, '넘어'는 높은 위를 지나간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산을 넘고, 강..
2022.05.20 -
키오스크(kiosk)의 어원은 페르시아 정원이다
국경 없이 유무형의 자원이 이동하는 시대에 우리가 사는 곳이 아닌 다른 곳에서 사용되며 이름이 붙여진 새로운 '신문물'들이 들어와 외래어로 불리는 건 새로운 일은 아니다. 그런데 보통 무인 자판기를 의미하는 키오스크(kiosk)는 외우기야 했지만 아직도 이름 자체는 어색하게 느껴진다. 대충 찾아봤다. 키오스크(kiosk) 어원은 터키·페르시아 일단 13세기 페르시아, 터키 지역에서 전면이 개방된 정원을 의미하였으며 이게 서구권으로 넘어오면서 작은 점포나 독립된 자판기 등의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작은 점포는 가판대라는 (어쨌든) 우리 말이 방어하고 있었지만 무인자판기가 본격적으로 보급되면서 언어가 현지화될 틈도 없이 우리 일상 속으로 빠르게 스며들었고, 이제는 키오스크라고 당당히 불리고 있다. 국립국..
2022.05.19 -
넷플릭스와 유튜브는 지구의 적!??!
탄소배출량 이야기이다. 정확히 어떤 조건하에서 예측된 숫자인지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찾지는 못했지만 각각의 공중파에서 보도한 내용을 조합해보니 자극적인 제목이 나왔다. 먼저 이야기하고 싶은 것이 있다. 환경단체들이 내놓는 자료의 숫자를 그대로 인식하는 것보다는 방향성을 제시한다는데 의미를 두고 해석하는 것이 더 현명해 보인다. 그들의 과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보호'라는 분명한 목적성을 가진 조직은 방향성이 같은 데이터에 약간의 너그러움이 더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영상 시청은 생각보다 많은 탄소를 배출한다. 요즘은 넷플릭스로 영화를 보고 유튜브로 다른 사람 밥 먹는 걸 구경하며 음악을 듣는다. (진짜) 개나 소가 유튜브 스타가 되고 이들을 촬영한 영상이 업로드를 통해 세계 각지에 있는 데이터센..
2022.05.18 -
아이패드의 구원자. 접이식 마그네틱 거치대
나는 아이패드 프로 3세대 11인치를 사서 사용했었는데 사실 구매 후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누워서 사용하기에는 무겁고, 그렇다고 뭔가 생산성 있는 무엇인가를 하기에는 작아보이고... 그래서 아이패드 프로 5세대 12.9 M1으로 기변을 하였다. 일단 크면 뭔가 잘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이젠 너무 커서 사용을 잘 안했다. 뭐 넷플릭스는 TV로 보고, 유튜브는 스마트폰으로 보니까. 그리고 생산적인 일은 노트북으로 하다 보니 전원을 1주일 이상 안 켜놓기도 하고 그랬다. 그러다가 우연히 아이패드 마그네틱 거치대를 구매하였는데 신세계가 펼쳐졌다. 위치를 편하게 옮기면서 유튜브 뮤직을 듣거나, 넷플릭스를 보거나, 유튜브 보거나, 필기를 하거나... 하지 않던 것들을 많이 하게 되었다. *리뷰하는..
2022.05.16 -
비주얼에 심쿵한 K-POP 뮤직비디오 6가지 장면
우리나라는 나 없이도 잘 돌아간다. 특히 한국문화는 음악,영화등 장르를 넘어 모든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큰 성과 및 파급력을 만들어내고 있다. 기업과 국가, 그리고 자기 자리에서 묵묵히 열심히 일하는 모두가 한 단계씩 내딛는 걸음을 함께 느끼고 있는 중이다. 서로의 발전이 맞물려 상호작용을 만들어 내고 있다. K-POP, 해석하면 한국음악, 조금만 더 파고 들면 한국 시스템에서 만들어진 음악 컨텐츠(국가는 다양한 듯하며 아직 아시아인에게까지만 열려 있는 것 같다)의 발전 또한 비약적이며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창의적"이라는 말에 해당하는 줄은 모르겠지만 아무튼 쉽게 보지 못한 퀄리티 높은 뮤직비디오의 비주얼 장면을 선정해 보았다. (선정기준은 아무 기준 없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내 마음이니 양해부탁...
2022.05.16 -
수소생산과 운송 과정에 상상력을 더해보자
수소경제의 핵심은 (관점에 따라 다르지만) 에너지의 저장과 운송이라고 하고 싶다. 신재생에너지를 저장 가능한 수소로 전환하여 운송 및 보급하는 프로세스에 국내 5대 기업이 약 43조를 투자하기로 했다. "수소경제의 본격적인 서막이 올랐다"라고 이야기 하고 싶지만, 아직 기술적으로 갈길이 멀게 느껴진다. 이 글에서는 복잡한 기술적 한계를 무시하고, 상상력만으로 수소의 생산과 운송과정 시나리오를 생각해봤다. 이 중 실제 기술적으로 상당히 접근한 시나리오도 존재하며, 허무맹랑한 것도 존재한다. 이미 현직에서 버리고 취합하며 지금의 방향성을 설정했겠지만 이 글에서는 상상력을 통해 수소경제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 고민해보고 싶다. 먼저 알아야 할 것은, 수소를 해상으로 운송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정말 최근의 이야기..
2022.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