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7. 14. 12:02ㆍ인스턴트 지식 KNWLG
이제 여름이 아니라 핫뜨거 여름이다. 그냥 너무 미치도록 덥다. 습도가 높아서 더 덥다는 걸 말로만 이해하다가 35도지만 습도가 낮은 날을 경험하니 한국이 찜통인 이유를 알 것 같다. 아무튼, 중요한 건 그게 아니고 1년 365일 더운 날이라면 사람들이 열심히 공부해서 에어컨 사용량을 DNA에 새겼겠지만 우리나라는 어쨌든 연간행사이다보니 더워질때마다 까먹는다. 물론 내가 그렇다.
대충 어떻게 해야 전기료를 아낄 수 있고, 그런 글들은 많지만 실제 사용량에 따라서 얼마의 금액이 나오는지 수치로 정확하게 정리하는 글들은 잘 안보여서 내가 정리해보고자 한다. 원리를 이해하면 어떻게 해야 에너지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지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더 똑똑하고 자세하게 분석해서 사용하는 사람이 훨씬 많을껀데, 그런 분들을 위한 글은 아니니 뒤로가기 하시고 이 글에서는 아주 기초적인 것부터 설명해서 실제 사용량을 예시로 들어서 설명하고자 한다.
에어컨 전력량 보는 법
다른 건 다 재끼고 전기료랑 관련있는 건 정격입력 or 정격 소비전력만 살펴보면 된다.
정격냉방능력 : MAX로 돌릴 때 사용하는 전력량
정격입력 / 정격 소비전력 : 일상적인 조건에서 사용할 때 소모하는 전력량
정격냉방능력이라는 단어가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전력량을 대변하는 것처럼 '생겼지만' 실상은 최대치로 돌릴 수 있는 전력사용량을 의미한다. 우리가 봐야하는 것은 일상조건에서 에어컨이 돌아갈 때 사용하는 전력량을 의미하는 정격입력 / 정격 소비전력이다.
사용전력 = 정격입력 X 시간
일단 단위부터 보면 위에 전력입력은 '850W'이다. 이를 전력사용량을 측정하기 쉽게 시간단위로 바꾸면 khw, 즉 1시간에 사용한 전력량으로 바뀌며 환산하면 아래와 같다.
1kwh = 1000W
0.85kwh = 850W
한전전기료(예시) 120원/kwh
즉 1시간 사용시 0.85kwh의 전력량을 사용한다는 뜻이다. 만약 하루 10시간 동안 (실외기가 돌아가는 상태로) 사용한다면 8.5kwh의 전력량을 사용하는 것이며 8.5kwh X 120원 = 1,020원을 의미한다. 즉 원룸에서 10시간동안 에어컨 가동하면 1000원정도의 전기료를 소모하는 것이다.
아래의 예시를 통해서 자세히 시물레이션 해보자
전기단가는 아래 한전의 전기료 단가에 의해 원룸은 120원 / 이외에는 214원으로 계산한다.
이 계산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평소 전력사용량이 어느정도인지 알고 있어야 에어컨 사용시 어느 구간에 포함될지 예측할 수 있다.
1. 원룸 6평짜리 에어컨
위의 에어컨을 예시로 생각해보자.
정격입력 : 0.85kwh(850w)
전기단가 : 120kwh
2. 일반형 16평 에어컨
정격냉방소비전력 : 2.05kwh
전기단가 : 214kwh (*2025년7월기준 한전에서 누진구간을 완화해줘서 300kwh로 사용하는 집은 120원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에어컨 절약 결론
원룸이면 그냥 시원하게 틀고, 아파트면 시원하게 켜놓고 대신 외식한번 아끼자.
추가) 2025년 7월 기준으로 한전에서 한시적으로 전력누진구간을 완화해줬음. 즉 구간이 기존 200/400kwh 에서 300/450kwh로 변경!
"한시적 제도 개편안을 보면 1단계 적용 구간이 기존 0~200킬로와트시(kWh)에서 0~300kWh로 늘어나고, 2단계 적용 구간도 200~400kWh에서 300~450kWh로, 3단계 적용 구간은 400kWh부터였지만 450kWh부터로 기준을 높이는 식이다. 전기요금은 1단계의 경우 기본요금(가구당) 910원·전력량요금(kWh당) 120원이, 2단계는 기본요금 1600원·전력량요금 214.6원이, 3단계는 기본요금 7300원·전력량요금 307.3원이 적용된다."
이는 원룸보다는 일반 가정집 300kwh 전후로 사용하는 집에서 환영할만한 일이다. 평소 사용량을 잘 계산해서 전기료 아껴보자
'인스턴트 지식 KNWL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프리미엄 인도로 가는 가장 심플한 4단계 방법 (2) | 2025.05.18 |
---|---|
공기질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모음 (1) | 2025.05.15 |
카자흐스탄 유튜브 우회 이민 절차 (6) | 2025.05.04 |
유튜브 프리미엄 우회 가능합니다만?(2025년) (3) | 2024.12.30 |
2,30대의 A형 간염 증가와 중국식품 수입증가의 관계? (1) | 2024.12.16 |